View

반응형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요약정리 글입니다.

한 명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부터 수 백만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기 앞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이 처리되는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가장 단순한 단일 서버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사용자의 요청이 처리되는 과정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한다.
  2. 입력된 URL 정보는 DNS에서 IP 주소로 변환되어 반환된다.
  3. 반환된 IP 주소를 가진 웹 서버로 HTTP 요청이 전달된다.
  4. 요청받은 웹 서버는 HTML 페이지나 JSON 형태의 응답을 반환한다.

 

사용자 수에 따른 시스템 설계

만약 단 한 명의 사용자만 이용하는 시스템이라면 위와 같이 웹 앱, 데이터베이스, 캐시 등을 한 대의 서버
즉, 단일 서버에서 실행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위와 같은 시스템은 트래픽이 증가하고 서버의 리소스가 부족해지면 아주 쉽게 망가질 수 있다.
이때 생각해볼 수 있는 해결 방법은 여러 서버를 두어 하나는 웹 / 앱 트래픽 처리 용도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서버를 분리하면 웹 계층데이터 계층이 분리되어 각각을 독립적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수직적 규모 확장(scale up)과 수평적 규모 확장(scale out)

  • 수직적 규모 확장(scale up)
    • 수직적 규모 확장은 서버에 더 좋은 CPU, 더 많은 RAM 등을 추가하는 방법을 말한다.
  • 수평적 규모 확장(scale out)
    • 더 많은 서버를 추가해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말한다.

 

수직적 확장은 아주 단순한 개념이기 때문에 적은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좋은 방법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이 방법에는 몇 가지 심각한 단점이 있다.

 

첫째, 하드웨어의 특성상 고사양 자원을 무한대로 증설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장애에 대한 대응 즉, 다중화나 자동복구에 대한 방안이 없어 서버 장애 발생 시 웹/앱이 완전히 중단된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대규모 시스템을 구성할 때는 수평적 규모 확장(scale out)이 적절하다.

 

로드밸런서

로드밸런서는 부하 분산 집합에 속한 웹 서버들에게 트래픽 부하를 고르게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웹 서버에 너무 많은 사용자가 몰리게 되면 응답 속도가 느려지거나 접속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수평적 규모 확장으로 웹 서버를 늘리고 로드밸런서를 도입해 적절히 트래픽 부하를 분산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로드밸런서의 트래픽 부하 분산을 통해 웹 계층의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용성 향상의 구체적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서버 1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로드밸런서를 통해 모든 트래픽을 서버 2로 넘겨줄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전체에 장애가 발생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 트래픽의 증가로 인해 서버 리소스가 부족하다면 웹 서버를 scale out 하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로드밸런서가 자동으로 트래픽을 분산시켜준다.

 

데이터베이스 다중화

위 그림처럼 서버를 구성하면 웹 계층의 부하는 잘 분산되지만 데이터 계층에 걸리는 부하는 그대로일 것이다.
여러 대의 서버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READ / WRITE 요청을 보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데이터 계층에는 데이터베이스 다중화를 통해 장애나 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다중화란 서버 사이에 master - slave 관계를 설정하고 데이터 원본은 master에, 사본은 slave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 주(master) 서버의 역할
    • write 연산
    • 데이터의 원본을 가짐
  • 부(slave) 서버의 역할
    • read 연산
    • master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본을 전달받아 저장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쓰기 연산보다 읽기 연산의 비중이 훨씬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slave) 데이터베이스를 더 많이 구성한다.

그렇다면 데이터베이스 다중화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바로 더 나은 성능과 안정성, 가용성 등을 말할 수 있다.

 

성능

  • write / update와 같은 데이터 변경 연산은 master로 read 연산은 slave로 분산되므로 병렬 처리될 수 있는 쿼리가 늘어나므로 성능이 좋아진다.

안정성

  •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물리적으로 떨어트려 다중화할 수 있으므로 그중 일부가 파손되어도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존된다.

가용성

  • 데이터를 여러 slave 서버에 복제해 둠으로써,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서버의 데이터를 가져와 계속 서비스할 수 있다.

만약 master 서버에 장애가 발생해 wirte 연산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slave 서버가 새로운 master 서버가 되고 write 연산을 이어가게 된다.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slave가 최신 상태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복구 스크립트로 구멍 난 데이터를 채워줘야 할 수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다중 마스터나 원형 다중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시스템 구성하기

앞서 살펴본 로드밸런서와 데이터베이스 다중화를 고려해 시스템을 다시 설계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시스템의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한다.
  2. 입력된 URL 정보는 DNS에서 IP 주소로 변환되어 반환된다.
  3. 반환된 IP 주소를 가진 로드밸런서에 접속한다.
  4. HTTP 요청은 로드밸런서에 의해 서버 1 혹은 서버 2로 전달된다.
  5. 웹 서버는 데이터를 Slave DB에서 읽어와 반환한다. 데이터 변경 연산(Create, Update, Delete)의 경우 Master DB로 전달된다.
반응형
Share Link

인기 글

최신 글

전체 방문자

Today
Yesterday